[1일차] 2025 정보처리산업기사 운영체제 – 운영체제 종류 유닉스편


오늘은 정보처리산업기사 내용 중 유닉스(UNIX) 운영체제를 정리했다. 유닉스는 오래된 시스템이지만 여전히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기업용 시스템의 기반으로 사용된다.학습 중에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모든 것은 파일이다(Everything is a file)”라는 개념이 단순하면서도 강력하다는 점이었다.

이 철학 덕분에 다양한 장치를 일관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1. 유닉스의 개요

유닉스는 1969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개발된 운영체제다.

다중 사용자(Multi-user), 다중 작업(Multi-tasking) 환경을 지원하며,

오랫동안 기업 서버와 공공 시스템의 표준으로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는 AIX, HP-UX, Solaris 등이 있다.

현재의 리눅스(Linux)와 macOS도 모두 유닉스 철학을 계승한 운영체제다.

유닉스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구조커널, 셸, 파일 시스템, 명령 도구
특징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안정성, 보안성
철학Everything is a file, 작은 프로그램의 조합, 파이프를 통한 연결

2. 유닉스의 기본 구조

유닉스의 내부는 커널과 셸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구성 요소설명
커널(Kernel)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 실행을 제어한다.
셸(Shell)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해 커널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다.
파일 시스템계층적 구조로 모든 자원(디렉터리, 장치, 프로세스)을 파일 형태로 표현한다.
유틸리티(Utilities)파일 조작, 프로세스 제어, 텍스트 처리 등 다양한 명령 도구 모음이다.

이 구조는 단순하지만 효율적이며, 셸을 통해 시스템의 거의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3. 유닉스의 철학

유닉스는 “작은 프로그램을 잘 만들고, 서로 연결하라(Do one thing well)”는 철학을 바탕으로 설계되었다.

하나의 명령은 단순하지만, 여러 명령을 파이프로 연결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

ps -ef | grep ssh | awk '{print $2}'

위 명령은 ps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출력하고,

grep으로 ssh 관련 항목만 추출한 뒤,

awk로 두 번째 열(PID)만 표시한다.

이처럼 유닉스는 여러 명령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인다.


4. 권한과 사용자 체계

유닉스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기 때문에,

파일과 디렉터리에 대한 접근 권한이 매우 중요하다.

권한은 읽기(Read), 쓰기(Write), 실행(Execute)으로 구분되며,

각각 사용자(owner), 그룹(group), 기타 사용자(others)로 나뉜다.

권한 표시 예시:

-rwxr-xr--
  • 첫 번째 문자는 파일 유형(- 일반파일, d 디렉터리)
  • 그다음 세 묶음은 사용자/그룹/기타 사용자 권한을 나타낸다.

명령 예시:

# 권한 변경
chmod 755 run.sh

# 소유자 변경
chown user1:devteam report.txt

숫자 표기(r=4, w=2, x=1) 방식은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chmod 644 file.txt는 소유자는 읽기+쓰기, 다른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5. 셸 환경

유닉스에서는 셸이 명령을 실행하는 핵심 인터페이스다.

대표적인 셸 종류는 다음과 같다.

특징
sh (Bourne Shell)기본 셸로 대부분의 시스템에 내장
csh (C Shell)C 언어와 유사한 문법을 사용
ksh (Korn Shell)Bourne Shell 기반 확장 버전, 스크립트 작성에 적합

셸은 단순한 명령어 실행 도구를 넘어서,

조건문, 반복문, 변수 등을 지원해 자동화 스크립트를 작성할 수 있다.


6. 쉘 스크립트 작성 예시

쉘 스크립트는 .sh 확장자를 사용하며,

여러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스크립트 파일이다.

예시:

#!/bin/sh
echo "오늘 날짜:"
date

echo "현재 로그인 사용자:"
who

echo "디스크 사용량:"
df -h

실행 방법:

chmod +x check_system.sh
./check_system.sh

쉘 스크립트는 서버 관리, 자동화, 백업 등에 자주 사용되며,

단순 반복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7. 유닉스 파일 시스템 구조

유닉스의 파일 시스템은 계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루트) 디렉터리를 최상위로 둔다.

주요 디렉터리 구조

경로설명
/최상위 루트 디렉터리
/bin기본 명령어 저장
/etc설정 파일 저장
/home사용자 홈 디렉터리
/var로그 파일 및 가변 데이터 저장
/dev장치 파일 저장
/tmp임시 파일 저장 공간

이 구조는 리눅스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다음 글은

[1일차] 정보처리산업기사 운영체제 – 운영체제 종류 리눅스편

으로 이어진다.

정보처리산업기사 관련링크 모음

  • 큐넷(Q-Net) 정보처리산업기사 안내
    -> 바로가기
  • 큐넷 원서접수 페이지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 바로가기
  • 한국산업인력공단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
  • 이기적 2025 정보처리산업기사 실기 교재 공식몰 (영진닷컴)
    -> 바로가기
  • HRD-Net (직업훈련포털)
    -> 바로가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